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아일랜드

    소개

    2005년에 개봉한 영화 아일랜드는 마이클 베이감독의 작품이고 이완 맥그리거와 스칼렛 요한슨이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인간 클론을 만들어 이들의 몸을 기증 장기로 사용하는 과학 소설 영화다. 아일랜드는 미래의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주인공 링컨은 폐쇄된 시설에서 거주하며 이곳이 지구 멸망 이후의 마지막 유토피아라고 믿고 살고 있고 희망의 땅 아일랜드에 가기만을 바라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링컨과 다른 사람들은 클론이며 그들의 몸은 기증 장기로 사용되기 위해 유전자 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주인공 링컨은 자신이 사는 유토피아에서 자신의 존재 이유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곧 그의 호기심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그가 사는 세계가 현실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위험한 것임을 알게 된다. 링컨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 이상의 비밀을 숨긴 채 살고 있는 것을 깨닫고 그에게 믿을 만한 동료인 조던과 함께 탈출을 결심한다. 이 영화는 고도로 발달한 미래 기술과 사회적 질서의 단절로 이루어진 흥미진진한 세계를 보여주며 그 안에서의 생존과 자유를 위한 두려움과 용기를 다룬다. 또한 자신의 정체성과 인간성을 찾아가는 여정 역시 주요 테마 중 하나다. 아일랜드는 과학 소설의 장르를 좋아하는 이들에게 흥미로운 시나리오와 재미있는 전개를 선사한다. 

    줄거리

    자신들을 지구 종말의 생존자라 믿고 있는 수백 명의 주민들은 함께 부족할 것 없는 유토피아에서 빈틈없는 통제를 받으며 살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지구에서 유일하게 오염되지 않은 희망의 땅 아일랜드에 추첨되어 뽑혀가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주기적으로 아일랜드에 가게 될 한 명으로 뽑히기 위해 이들은 규칙적인 생활과 교양과 지식을 쌓아가며 자신을 가꾸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하지만 딱한 명 링컨만이 제한되고 규격화된 이곳 생활에 의문을 품고 있다. 링컨은 관리자를 찾아가 그동안 느꼈던 모든 의문을 털어놓는다. 그리고 업무시간 출산이 임박했던 리마가 쓰러지고 출산을 하게 되면 아일랜드로 가게 된다는 룰이 있었기에 리마는 들뜬 마음으로 수술실로 향한다. 한편 링컨은 관리자들 중 한 명에게 빼돌린 열쇠를 가지고 통제구역으로 향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나비를 발견하게 된다. 분명 지구는 죽음의 땅이 되어 이곳의 사람들을 제외한 모든 생명체가 죽었다고 들었기 때문에 링컨의 의문은 점점 커 저만 간다. 그리고 자신의 절친인 조던에게 그 비밀을 공유한다. 또다시 시작된 아일랜드 추첨에 조던이 당첨되고 이를 본 링컨은 기쁘지만 한편으론 불길함을 느낀다. 링컨은 환풍기를 통해 위층으로 올라가고 그곳에서 아일랜드는 지상 최고의 낙원이 아닌 삶의 최후를 뜻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곧이어 링컨과 조던은 유토피아를 탈출하고 자신의 스폰서 진짜 링컨의 집을 찾아가 도움을 청한다. 진짜 링컨은 도움을 주기로 약속하지만 그것은 거짓이었고 연구소 직원들에게 데려간다. 하지만 클론 링컨은 기지를 발휘해 살아나게 되고 자신의 동료들을 살리기 위해 유토피아로 돌아가 자신의 동료들을 풀어주고 영화는 마무리된다.

    비현실적인 복제인간 설정과 찬반 논란

    먼저 복제인간은 인간의 기억까지 남을 수는 없다. 기억은 저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외부의 경험이나 개인의 생각들로 인해 자극받은 뇌가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장 원래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이는 동일한 인간의 육체는 만들어 낼 수 있지만 같은 기억을 복사해 내 복제인간에 심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또 복제인간은 시설의 시스템에 의문점을 갖지 못하도록 청소년 이하의 지능을 가지도록 제작되었다. 하지만 링컨은 일반 성인 이상의 지능을 가졌으며 호기심을 해결하는 수준 또한 아주 높다. 이런 설정은 비현실적이라고 보인다. 미국에서 생쥐의 세포를 이용해 생쥐 복제에 성공했다. 이에 한국과 뉴질랜드와 프랑스에서도 복제소가 탄생했다. 인간복제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찬반양론이 맞선다. 찬성하는 의견으론 불임문제를 해결하고 염색체 이상 등 선천성 결함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 의견은 기술적 위험성이 여전하고 지형과 조기사망을 파할 수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복제인간의 생산은 가족 공동체를 파괴하고 질병에도 취약해진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언젠가는 실제로 인간의 복제에 성공해 복제인간이 생겨날 날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